BufferGeometry
는 Three.js 내의 모든 geometry
를 나타냅니다(r125에서부터 Geometry
가 제거되었습니다). 좀 더 자세히 말하면 특정 BufferAttribute
라고 부르는 속성의 집합이죠.
각 BufferAttribute
는
위치(positions), 법선(normals), 색(colors), uv 데이터의 배열이고, 이들을 모으면 각 꼭지점에
대한 평행 배열 형식의 데이터가 됩니다.
그림을 보면 총 4개의 속성(attribute), position
, normal
, color
, uv
가 있습니다.
이들은 평행 배열로 각 속성의 N 번째 데이터 묶음이 한 꼭지점의 데이터를 나타냅니다. 표시한
index = 4 위치의 꼭지점 데이터를 보세요. 이 묶음이 하나의 꼭지점을 정의합니다.
이해를 돕기 위해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를 강조해보겠습니다.
이 경우 맞닿은 면의 색이 다르기에, 이 모서리는 각 면에 다른 법선을 제공해야 합니다. 마찬가지로 UV도 달라야 하죠. 하나의 꼭지점은 위 4개 속성의 묶음이고, 때문에 속성이 달라진다면 그건 다른 꼭지점이 되는 것이죠.
이전과 마찬가지로 BufferGeometry
로 정육면체를 만들어보겠습니다. 굳이 정육면체를 쓰는
이유는 모서리의 꼭지점을 공유하는 듯해도 사실 그렇지 않기 때문이죠. 필요한 꼭지점을
전부 생성한 후, 꼭지점 데이터를 평행 배열로 변환해 BufferAttribute
를 만들고, 이를
BufferGeometry
에 추가해야 합니다.
먼저 정육면체를 만드는 데 필요한 데이터를 정렬합니다. 아까 말했듯 꼭지점의 속성 중 하나라도 다르다면 별도의 꼭지점으로 분리해야 합니다. 정육면체의 경우는 총 꼭지점 36개가 필요하죠. 면 6개, 면 하나당 삼각형 2개, 삼각형 하나 당 꼭지점 3개, 총 36개입니다.
const vertices = [ // 앞쪽 { pos: [-1, -1, 1], norm: [ 0, 0, 1], uv: [0, 0], }, { pos: [ 1, -1, 1], norm: [ 0, 0, 1], uv: [1, 0], }, { pos: [-1, 1, 1], norm: [ 0, 0, 1], uv: [0, 1], }, { pos: [-1, 1, 1], norm: [ 0, 0, 1], uv: [0, 1], }, { pos: [ 1, -1, 1], norm: [ 0, 0, 1], uv: [1, 0], }, { pos: [ 1, 1, 1], norm: [ 0, 0, 1], uv: [1, 1], }, // 오른쪽 { pos: [ 1, -1, 1], norm: [ 1, 0, 0], uv: [0, 0], }, { pos: [ 1, -1, -1], norm: [ 1, 0, 0], uv: [1, 0], }, { pos: [ 1, 1, 1], norm: [ 1, 0, 0], uv: [0, 1], }, { pos: [ 1, 1, 1], norm: [ 1, 0, 0], uv: [0, 1], }, { pos: [ 1, -1, -1], norm: [ 1, 0, 0], uv: [1, 0], }, { pos: [ 1, 1, -1], norm: [ 1, 0, 0], uv: [1, 1], }, // 뒤쪽 { pos: [ 1, -1, -1], norm: [ 0, 0, -1], uv: [0, 0], }, { pos: [-1, -1, -1], norm: [ 0, 0, -1], uv: [1, 0], }, { pos: [ 1, 1, -1], norm: [ 0, 0, -1], uv: [0, 1], }, { pos: [ 1, 1, -1], norm: [ 0, 0, -1], uv: [0, 1], }, { pos: [-1, -1, -1], norm: [ 0, 0, -1], uv: [1, 0], }, { pos: [-1, 1, -1], norm: [ 0, 0, -1], uv: [1, 1], }, // 왼쪽 { pos: [-1, -1, -1], norm: [-1, 0, 0], uv: [0, 0], }, { pos: [-1, -1, 1], norm: [-1, 0, 0], uv: [1, 0], }, { pos: [-1, 1, -1], norm: [-1, 0, 0], uv: [0, 1], }, { pos: [-1, 1, -1], norm: [-1, 0, 0], uv: [0, 1], }, { pos: [-1, -1, 1], norm: [-1, 0, 0], uv: [1, 0], }, { pos: [-1, 1, 1], norm: [-1, 0, 0], uv: [1, 1], }, // 상단 { pos: [ 1, 1, -1], norm: [ 0, 1, 0], uv: [0, 0], }, { pos: [-1, 1, -1], norm: [ 0, 1, 0], uv: [1, 0], }, { pos: [ 1, 1, 1], norm: [ 0, 1, 0], uv: [0, 1], }, { pos: [ 1, 1, 1], norm: [ 0, 1, 0], uv: [0, 1], }, { pos: [-1, 1, -1], norm: [ 0, 1, 0], uv: [1, 0], }, { pos: [-1, 1, 1], norm: [ 0, 1, 0], uv: [1, 1], }, // 하단 { pos: [ 1, -1, 1], norm: [ 0, -1, 0], uv: [0, 0], }, { pos: [-1, -1, 1], norm: [ 0, -1, 0], uv: [1, 0], }, { pos: [ 1, -1, -1], norm: [ 0, -1, 0], uv: [0, 1], }, { pos: [ 1, -1, -1], norm: [ 0, -1, 0], uv: [0, 1], }, { pos: [-1, -1, 1], norm: [ 0, -1, 0], uv: [1, 0], }, { pos: [-1, -1, -1], norm: [ 0, -1, 0], uv: [1, 1], }, ];
다음으로 이 배열을 3개의 평행 배열로 변환합니다.
const positions = []; const normals = []; const uvs = []; for (const vertex of vertices) { positions.push(...vertex.pos); normals.push(...vertex.norm); uvs.push(...vertex.uv); }
이제 BufferGeometry
를 만듭니다. 그리고 각 배열로 BufferAttribute
인스턴스를 생성한
뒤 BufferGeometry
에 추가합니다.
const geometry = new THREE.BufferGeometry(); const positionNumComponents = 3; const normalNumComponents = 3; const uvNumComponents = 2; geometry.setAttribute( 'position', new THREE.BufferAttribute(new Float32Array(positions), positionNumComponents)); geometry.setAttribute( 'normal', new THREE.BufferAttribute(new Float32Array(normals), normalNumComponents)); geometry.setAttribute( 'uv', new THREE.BufferAttribute(new Float32Array(uvs), uvNumComponents));
이때 정확히 Three.js가 원하는 속성 이름을 써야 합니다(사용자 지정 쉐이더를 만들 때와는
달리). 이 경우에는 position
, normal
, uv
이죠. 꼭지점 색을 지정하려면 color
속성을
지정해야 합니다.
아까 positions
, normals
, uvs
, 3개의 자바스크립트 순수 배열을 생성했습니다.
그리고 위에서 해당 배열을 형식화 배열,
Float32Array
로 변환했죠. BufferAttribute
는 순수 배열이 아니라 형식화 배열을
인자로 받습니다. 또한 하나의 꼭지점에 몇 개의 요소를 사용할 지 지정해줘야 하죠.
위치(position)과 법선(normal)의 경우 x, y, z 총 3개이고, UV는 u, v 총 2개입니다.
데이터가 너무 많네요. 크게 구조를 바꾸긴 어렵지만, 꼭지점을 인덱스로 참조하게끔 바꾸면 조금 나을 듯합니다. 정육면체 데이터를 다시 봅시다. 각 면은 2개의 삼각형, 삼각형 하나에는 꼭지점이 3개 있으므로 면 하나에는 총 6개의 꼭지점이 있습니다. 하지만 이 중 꼭지점 2개는 완전히 같죠(같은 위치, 같은 법선, 같은 uv). 중복된 꼭지점을 제거하고 인덱스로 데이터를 불러오도록 바꿀 수 있겠네요. 먼저 중복된 꼭지점을 제거하겠습니다.
const vertices = [ // 앞쪽 { pos: [-1, -1, 1], norm: [ 0, 0, 1], uv: [0, 0], }, // 0 { pos: [ 1, -1, 1], norm: [ 0, 0, 1], uv: [1, 0], }, // 1 { pos: [-1, 1, 1], norm: [ 0, 0, 1], uv: [0, 1], }, // 2 - - { pos: [-1, 1, 1], norm: [ 0, 0, 1], uv: [0, 1], }, - { pos: [ 1, -1, 1], norm: [ 0, 0, 1], uv: [1, 0], }, { pos: [ 1, 1, 1], norm: [ 0, 0, 1], uv: [1, 1], }, // 3 // 오른쪽 { pos: [ 1, -1, 1], norm: [ 1, 0, 0], uv: [0, 0], }, // 4 { pos: [ 1, -1, -1], norm: [ 1, 0, 0], uv: [1, 0], }, // 5 - - { pos: [ 1, 1, 1], norm: [ 1, 0, 0], uv: [0, 1], }, - { pos: [ 1, -1, -1], norm: [ 1, 0, 0], uv: [1, 0], }, { pos: [ 1, 1, 1], norm: [ 1, 0, 0], uv: [0, 1], }, // 6 { pos: [ 1, 1, -1], norm: [ 1, 0, 0], uv: [1, 1], }, // 7 // 뒤쪽 { pos: [ 1, -1, -1], norm: [ 0, 0, -1], uv: [0, 0], }, // 8 { pos: [-1, -1, -1], norm: [ 0, 0, -1], uv: [1, 0], }, // 9 - - { pos: [ 1, 1, -1], norm: [ 0, 0, -1], uv: [0, 1], }, - { pos: [-1, -1, -1], norm: [ 0, 0, -1], uv: [1, 0], }, { pos: [ 1, 1, -1], norm: [ 0, 0, -1], uv: [0, 1], }, // 10 { pos: [-1, 1, -1], norm: [ 0, 0, -1], uv: [1, 1], }, // 11 // 왼쪽 { pos: [-1, -1, -1], norm: [-1, 0, 0], uv: [0, 0], }, // 12 { pos: [-1, -1, 1], norm: [-1, 0, 0], uv: [1, 0], }, // 13 - - { pos: [-1, 1, -1], norm: [-1, 0, 0], uv: [0, 1], }, - { pos: [-1, -1, 1], norm: [-1, 0, 0], uv: [1, 0], }, { pos: [-1, 1, -1], norm: [-1, 0, 0], uv: [0, 1], }, // 14 { pos: [-1, 1, 1], norm: [-1, 0, 0], uv: [1, 1], }, // 15 // 상단 { pos: [ 1, 1, -1], norm: [ 0, 1, 0], uv: [0, 0], }, // 16 { pos: [-1, 1, -1], norm: [ 0, 1, 0], uv: [1, 0], }, // 17 - - { pos: [ 1, 1, 1], norm: [ 0, 1, 0], uv: [0, 1], }, - { pos: [-1, 1, -1], norm: [ 0, 1, 0], uv: [1, 0], }, { pos: [ 1, 1, 1], norm: [ 0, 1, 0], uv: [0, 1], }, // 18 { pos: [-1, 1, 1], norm: [ 0, 1, 0], uv: [1, 1], }, // 19 // 하단 { pos: [ 1, -1, 1], norm: [ 0, -1, 0], uv: [0, 0], }, // 20 { pos: [-1, -1, 1], norm: [ 0, -1, 0], uv: [1, 0], }, // 21 - - { pos: [ 1, -1, -1], norm: [ 0, -1, 0], uv: [0, 1], }, - { pos: [-1, -1, 1], norm: [ 0, -1, 0], uv: [1, 0], }, { pos: [ 1, -1, -1], norm: [ 0, -1, 0], uv: [0, 1], }, // 22 { pos: [-1, -1, -1], norm: [ 0, -1, 0], uv: [1, 1], }, // 23 ];
이제 꼭지점 24개만 남았습니다. 중복되는 꼭지점은 없죠. 이제 BufferGeometry.setIndex
메서드에 각 꼭지점 데이터의 인덱스값 36개-삼각형이 12개이므로-를 넘겨줍니다.
geometry.setAttribute( 'position', new THREE.BufferAttribute(positions, positionNumComponents)); geometry.setAttribute( 'normal', new THREE.BufferAttribute(normals, normalNumComponents)); geometry.setAttribute( 'uv', new THREE.BufferAttribute(uvs, uvNumComponents)); +geometry.setIndex([ + 0, 1, 2, 2, 1, 3, // 앞쪽 + 4, 5, 6, 6, 5, 7, // 오른쪽 + 8, 9, 10, 10, 9, 11, // 뒤쪽 + 12, 13, 14, 14, 13, 15, // 왼쪽 + 16, 17, 18, 18, 17, 19, // 상단 + 20, 21, 22, 22, 21, 23, // 하단 +]);
BufferGeometry
에 법선을 지정하지 않았다면 computeVertexNormals
메서드를 호출해 자동으로 법선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. 다만 데이터가 조금이라도 다르다면
꼭지점을 공유할 수 없기에 구체나 원통 같은 물체를 만들려 하는 경우에는 이음새가 보일 수 있어요.
위 두 원통은 computeVertexNormals
메서드를 호출해 법선을 생성했습니다. 자세히 보면
왼쪽 원통에 이음매가 있는 게 보일 텐데, 이는 원통의 끝과 시작점의 UV가 달라 꼭지점을
공유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. 그다지 큰 문제는 아니지만, 알아두어 나쁠 건 없죠. 이를 해결하려면
법선을 직접 지정해야 합니다.
아까는 처음에 순수 배열을 썼지만, 처음부터 형식화 배열을
사용할 수도 있습니다. 다만 형식화 배열은 초기화할 때 미리 크기를 지정해줘야 합니다.
그렇게 어려운 일은 아니지만, 순수 배열은 push
메서드로 요소를 추가하고 바뀐
길이를 length
속성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 하지만 형식화 배열을 사용하면 어디서
요소를 추가했는지 직접 일일이 기록해야 하죠.
예제의 경우는 사전에 정해진 데이터를 사용하기에 배열 길이를 미리 구하는 게 어렵지 않습니다.
-const positions = []; -const normals = []; -const uvs = []; +const numVertices = vertices.length; +const positionNumComponents = 3; +const normalNumComponents = 3; +const uvNumComponents = 2; +const positions = new Float32Array(numVertices * positionNumComponents); +const normals = new Float32Array(numVertices * normalNumComponents); +const uvs = new Float32Array(numVertices * uvNumComponents); +let posNdx = 0; +let nrmNdx = 0; +let uvNdx = 0; for (const vertex of vertices) { - positions.push(...vertex.pos); - normals.push(...vertex.norm); - uvs.push(...vertex.uv); + positions.set(vertex.pos, posNdx); + normals.set(vertex.norm, nrmNdx); + uvs.set(vertex.uv, uvNdx); + posNdx += positionNumComponents; + nrmNdx += normalNumComponents; + uvNdx += uvNumComponents; } geometry.setAttribute( 'position', - new THREE.BufferAttribute(new Float32Array(positions), positionNumComponents)); + new THREE.BufferAttribute(positions, positionNumComponents)); geometry.setAttribute( 'normal', - new THREE.BufferAttribute(new Float32Array(normals), normalNumComponents)); + new THREE.BufferAttribute(normals, normalNumComponents)); geometry.setAttribute( 'uv', - new THREE.BufferAttribute(new Float32Array(uvs), uvNumComponents)); + new THREE.BufferAttribute(uvs, uvNumComponents)); geometry.setIndex([ 0, 1, 2, 2, 1, 3, // 앞쪽 4, 5, 6, 6, 5, 7, // 오른쪽 8, 9, 10, 10, 9, 11, // 뒤쪽 12, 13, 14, 14, 13, 15, // 왼쪽 16, 17, 18, 18, 17, 19, // 상단 20, 21, 22, 22, 21, 23, // 하단 ]);
꼭지점의 일부를 수정하고 싶다면 형식화 배열을 사용하는 게 좋습니다.
뭔가 꼭지점을 동적으로 수정하는 예제를 찾아보려고 노력했는데, 찾기가 어렵네요. 그냥 구체를 만들고 구체의 각 사분면(quad)을 중심으로부터 안팎으로 움직여보겠습니다.
아래는 구체의 위치값과 인덱스를 생성하는 코드입니다. 사분면 내의 꼭지점은 서로 공유할 수 있지만, 사분면은 각각 움직여야 하므로 사분면끼리는 공유하지 않도록 합니다.
구체의 정점을 구하기 위해 좀 더 복잡한 방법을 쓸 수도 있지만, 귀찮으니 그냥
Object3D
3개를 계층 구조로 배열해 쓰겠습니다. 이 방식에 대해서는 많은 물체를
최적화하는 방법에서 더 자세히 다루겠습니다.
function makeSpherePositions(segmentsAround, segmentsDown) { const numVertices = segmentsAround * segmentsDown * 6; const numComponents = 3; const positions = new Float32Array(numVertices * numComponents); const indices = []; const longHelper = new THREE.Object3D(); const latHelper = new THREE.Object3D(); const pointHelper = new THREE.Object3D(); longHelper.add(latHelper); latHelper.add(pointHelper); pointHelper.position.z = 1; const temp = new THREE.Vector3(); function getPoint(lat, long) { latHelper.rotation.x = lat; longHelper.rotation.y = long; longHelper.updateMatrixWorld(true); return pointHelper.getWorldPosition(temp).toArray(); } let posNdx = 0; let ndx = 0; for (let down = 0; down < segmentsDown; ++down) { const v0 = down / segmentsDown; const v1 = (down + 1) / segmentsDown; const lat0 = (v0 - 0.5) * Math.PI; const lat1 = (v1 - 0.5) * Math.PI; for (let across = 0; across < segmentsAround; ++across) { const u0 = across / segmentsAround; const u1 = (across + 1) / segmentsAround; const long0 = u0 * Math.PI * 2; const long1 = u1 * Math.PI * 2; positions.set(getPoint(lat0, long0), posNdx); posNdx += numComponents; positions.set(getPoint(lat1, long0), posNdx); posNdx += numComponents; positions.set(getPoint(lat0, long1), posNdx); posNdx += numComponents; positions.set(getPoint(lat1, long1), posNdx); posNdx += numComponents; indices.push( ndx, ndx + 1, ndx + 2, ndx + 2, ndx + 1, ndx + 3, ); ndx += 4; } } return { positions, indices }; }
만든 함수를 다음처럼 호출합니다.
const segmentsAround = 24; const segmentsDown = 16; const { positions, indices } = makeSpherePositions(segmentsAround, segmentsDown);
여기서 반환된 위치값(positions)은 구체의 위치값을 기반으로 합니다. 이는 법선의 값(normals)과 같으니 법선을 따로 구할 필요 없이 위치값을 복사해서 쓰면 됩니다.
const normals = positions.slice();
다음으로 각 속성을 지정합니다.
const geometry = new THREE.BufferGeometry(); const positionNumComponents = 3; const normalNumComponents = 3; +const positionAttribute = new THREE.BufferAttribute(positions, positionNumComponents); +positionAttribute.setUsage(THREE.DynamicDrawUsage); geometry.setAttribute( 'position', + positionAttribute); geometry.setAttribute( 'normal', new THREE.BufferAttribute(normals, normalNumComponents)); geometry.setIndex(indices);
예제에서 차이점이 있는 부분을 표시해 두었습니다. 위치 속성에 참조값을 넘겨주었고, 이 속성이 동적이라고 명시했습니다. 이는 Three.js에게 해당 속성을 자주 변경될 수 있음을 알려주는 역할이죠.
이제 render
함수에서 매 프레임마다 법선을 기준으로 위치값을 변경해줍니다.
const temp = new THREE.Vector3(); ... for (let i = 0; i < positions.length; i += 3) { const quad = (i / 12 | 0); const ringId = quad / segmentsAround | 0; const ringQuadId = quad % segmentsAround; const ringU = ringQuadId / segmentsAround; const angle = ringU * Math.PI * 2; temp.fromArray(normals, i); temp.multiplyScalar(THREE.MathUtils.lerp(1, 1.4, Math.sin(time + ringId + angle) * .5 + .5)); temp.toArray(positions, i); } positionAttribute.needsUpdate = true;
마지막으로 positionAttribute.needsUpdate
속성을 활성화해 변화를 감지하도록 합니다.
이 글이 BufferGeometry
로 사용자 지정 geometry를 만들고, BufferAttribute
를 다루는
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.